급속하게 증가되고, 또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 착하기 위해 이들 여성이 형성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점에서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 족도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 펴보고자 했다. 이에 성남시에 소재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결 혼이주여성 250명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은 사회적 자본인 신뢰, 사회네트워크, 규범과 생활만 족도에 대해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다만 사회적 자본의 가족네트워크와 참여에 대해 보 통수준의 인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이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 도의 인식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분석에서 가족네트워크의 경우 40세 미만의 연령, 결혼 한 년차가 5년 미만, 한국에 온 연수가 5년 미만, 남편의 학력수준이 대졸 이상일 때는 상대적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참여의 경우 결혼이주여성의 남편 학력수준이 대졸이 상이고 본인의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나아가 결혼이주여 성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 중에서 사회네트워크, 참여, 규범에 대한 인식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한국어를 잘할수록 사회적 자본 중에서 신뢰, 참여, 규범에 대 한 긍정적 인식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에서 다문화지원센터가 소재하고 있는 지 역적 특성, 참여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에 따른 지원서비스를 잘 설계할 필요가 있다 는 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 여성들이 한국어를 보다 잘 구사할 수 있는 지원프로 그램의 내실화가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셋째, 이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사 회적 자본의 신뢰, 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참여, 규범 모두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관계분석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신
뢰, 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규범이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 치고 있으며, 참여는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을 지속적으로 향상하려는 정책적 노력은 곧 이들 여성의 생활만족도를 제고하는 방안일 수 있다는 사실을 검정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