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2,721
|
· 자료구분 |
2016년 제30권 제3호 |
|
· 자료명 |
공공부문 성과중심 보상제도의 동기부여 효과에 관한 연구:조절변수의 탐색 |
|
· 저자 |
이 형 우이 형 우님 관련 자료검색 |
|
· 주제어 |
성과보상, 성과관리, 성과평가 타당성, 성과피드백, 성과급 비중,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
|
· 첨부파일 |
1.pdf파일다운로드 Download : 53
|
|
· 내용 |
오늘날 공공조직에는 성과에 따른 보상 시스템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성과중심보상제 도는 근로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서 업무의욕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실증적 연구를 실시한 학자들은 다소 실망스러운 혹은 상반된 결과를 동시에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자는 성과보상제도의 동기부여효과는 단정적이지 않으며 여러 요인들에 의해 조절된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조절효과들을 실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 구에서는 평가체계의 타당성 인식, 성과평가의 피드백 만족도, 성과급의 비중, 상사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의 5개 변수가 성과중심보상이 동기부여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한 다. 중앙 공기업 직원 357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5개 중 평가체계의 타당성 인식 과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행동이 성과보상제도의 동기부여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성과급의 비중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과보상 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하여 일부에서 맹신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성과급의 차등 폭을 늘리는 것보다는, 성과평가체계의 타당성인식을 높이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제도를 운영하는 관 리자의 리더십 훈련이 병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