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2733-4244 (Print)

ISSN 2733-4252 (Online)

조회 : 5,166  
· 자료구분 2017년 제31권 제1호
· 자료명 지역의존도가 특정 산업의 집적도와 지역의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울특별시와 인접 수도권 기초 지자체를 중심으로
· 저자 박지형박지형님 관련 자료검색  ,   김민곤 김민곤님 관련 자료검색  ,   송용찬 송용찬님 관련 자료검색
· 주제어 지역의존도가 특정 산업의 집적도와 지역의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울특별시와 인접 수도권 기초 지자체를 중심으로
· 첨부파일 07박지형_김민곤_송용찬.pdf파일다운로드 Download : 46
· 내용

오늘날 도시의 경쟁력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다른 산업들이 이를 보조해주는 수직적 산업구조에 의해서가 아니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여러 특정 산업들의 집중도를 통한 수평적 산업구조에 의해서 결정되며, 특정산업의 집적도의 형성과 이를 위한 특정산업 종사자들의 편의를 위한 환경조성과 이를 바탕으로 한 도시 및 지역경제의 정책수립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 중심지 특성 및 특정산업의 집적을 직주분리현상의 한 모습으로 보고 이들 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측면에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는 지금까지 도시 및 지역의 산업 및 경제성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도시 거주민들의 경제저인 능력에 초점을 맞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공간구조를 고려한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존도가 특정산업 집적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특정산업의 집적이 지역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향후 도시 및 지역의 경제성장 정책에서 도시산업구조에 따른 재정건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를 25개 자치구와 지역의존도를 형성하고 있는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기초 지자체를 연구대상을 하였으며, 1995, 2000, 2005, 2010년의 4개 년도를 연구기간으로 하였다. 지역의존도가 특정산업 집적 및 지역 재정건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2단계 최소자승 패널모형(two-stage least squares for panel-data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의존도가 특정산업 집적 및 지역 재정건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 지역에 대한 지역의존도가 높을수록 특정산업 집적도 또한 낮게 나타나며, 지역 재정건전성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지역이 외부지역에 대한 지역의존도가 높을수록 지역 특정산업의 집적은 낮아지고 지역의 재정건전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지역의존도, 지역 및 도시경제, 2단계 최소자승 패널 모형


 
 

저자명, 제목, 내용, 권/호수 통합검색. 키워드별로 한칸 띄워 입력
번호 년도/발간일 권호 제목 저자
666 2017 제31권 제3호 주요 10개 국가의 국가표준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적 연구

[31권 3호]주요 10개 국가의 국가표준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적 연구

이용규
665 2017 제31권 제3호 표준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사회적 인식과 요건: 온라인 뉴스 기사에 나타난 표준 관련 인식에 대한 분석

[31권 3호]표준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사회적 인식과 요건: 온라인 뉴스 기사에 나타난 표준 관련 인식에 대한 분석

김찬우, 정병기
664 2017 제31권 제3호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개편에 따른 표준인력양성전략 수립 연구

[31권3호]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개편에 따른 표준인력양성전략 수립 연구

송용찬
663 2017 제31권 제3호 미국과 독일의 표준정책의 비교: 제도적 상호보완성 개념을 중심으로

[31권3호] 미국과 독일의 표준정책의 비교: 제도적 상호보완성 개념을 중심으로

배귀희
662 2017 제31권 제3호 중소기업혁신을 위한 표준지원시스템 연구: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정책시사점의 모색

[31권3호] 중소기업혁신을 위한 표준지원시스템 연구: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정책시사점의 모색

성태경
661 2017 제31권 제3호 제조업 과학기술 융합구조 분석 및 국가 표준정책 연구

[31권3호] 제조업 과학기술 융합구조 분석 및 국가 표준정책 연구

황광선
660 2017 제31권 제3호 무역기술장벽-기술혁신-통상의 영향에 관한 연구: WTO TBT 통보문을 중심으로

[31권3호] 무역기술장벽-기술혁신-통상의 영향에 관한 연구: WTO TBT 통보문을 중심으로

이희상, 문승연
659 2017 제31권 제3호 해외 TBT와 SPS의 한국 수출에 대한 효과 분석:수출비용효과와 수요증진효과

[31권3호] 해외 TBT와 SPS의 한국 수출에 대한 효과 분석:수출비용효과와 수요증진효과

장용준
658 2017 제31권 제3호 표준화 관점에서 본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고속철도 기술의 사례

[31권3호]  표준화 관점에서 본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고속철도 기술의 사례

곽주영, 이희진
657 2017 제31권 제3호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한 표준 정책 및 거버너스 개편 방안 연구

[31권3호]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한 표준 정책 및 거버너스 개편 방안 연구

성지은, 송위진
656 2017 제31권 제3호 규제와 혁신의 관점에서 본 모바일 의료용 앱 규제 정책: 미국, EU 및 한국 비교 연구

[31권3호]  규제와 혁신의 관점에서 본 모바일 의료용 앱 규제 정책: 미국, EU 및 한국 비교 연구

엄도영, 주한나
655 2017 제31권 제2호 지방공기업에 대한 객관적 성과평가와 주관적 고객만족도의 관계

[31권2호] 지방공기업에 대한 객관적 성과평가와 주관적 고객만족도의 관계

이석환
654 2017 제31권 제2호 LMX와 조직몰입의 관계분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1권2호] LMX와 조직몰입의 관계분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영균, 유광영
653 2017 제31권 제2호 지역발전특별회계의 지역 간 재정형평성 효과에 관한 연구: 시·군 권역별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31권2호] 지역발전특별회계의 지역 간 재정형평성 효과에 관한 연구: 시·군 권역별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김흥주, 강인호
652 2017 제31권 제2호 게임 규제정책의 변화과정 분석: 게임심의정책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31권2호] 게임 규제정책의 변화과정 분석: 게임심의정책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신현두
651 2017 제31권 제2호 비용효과분석을 통한 서울시 지하철 9호선 혼잡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31권2호] 비용효과분석을 통한 서울시 지하철 9호선 혼잡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재홍, 강인성
650 2017 제31권 제2호 시민의 정책참여 영향요인 분석: 온라인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31권2호] 시민의 정책참여 영향요인 분석: 온라인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민이
649 2017 제31권 제2호 The Effect of the Change of Ethnic Population and Racial Residential Segregation on Housing Characteristics in Chicago Metropolitan Area from 2000 to 2010: Focused on Blacks and Hispanics

[31권2호] The Effect of the Change of Ethnic Population and Racial Residential Segregation on Housing Characteristics in Chicago Metropolitan Area from 2000 to 2010: Focused on Blacks and Hispanics

박치형, 김왕식
648 2017 제31권 제2호 Impact of Credit Rating Constraints on Spending Volatilities: Evidence from U.S. States

[31권2호] Impact of Credit Rating Constraints on Spending Volatilities: Evidence from U.S. States

박소영, 사용진
647 2017 제31권 제2호 OECD 국가의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연구: UN 전자정부 발전지수와 비교 및 관련성을 중심으로

[31권2호] OECD 국가의 공공데이터 개방에 관한 연구: UN 전자정부 발전지수와 비교 및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구